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Z세대 픽! 🥇 제주 인기 관광지 TOP 10 완벽 분석 (20대/30대 선호도 포함)

by 도리분양사 2025. 10. 8.
반응형

MZ세대 픽! 🥇 제주 인기 관광지 TOP 10 완벽 분석 (20대/30대 선호도 포함)

최근 제주 관광 시장의 소비를 주도하고 있는 세대는 바로 MZ세대(밀레니얼+Z세대)입니다. 이들은 이전 세대와는 확연히 다른 여행 패턴과 소비 성향을 보이며 제주 여행의 트렌드를 만들고 있습니다. 한국관광외식문화원의 '제주 MZ관광 발전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MZ세대가 열광하는 제주 핫플레이스와 그들의 소비 성향을 상세히 분석해 보았습니다.

🌊 MZ세대 전체 선호도 TOP 10: 해수욕장의 압도적인 강세!

MZ세대에게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 1위는 바로 함덕해수욕장이 차지했습니다. 특히 상위 10곳 중 5곳이 해수욕장으로 조사되어, MZ세대가 제주에서 가장 선호하는 장소가 '바다'라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MZ세대 제주 인기 관광지 TOP 10 순위
순위 관광지명 특징
1위 함덕해수욕장 SNS→검색→방문 패턴이 가장 이상적인 '핫플'
2위 협재해수욕장 서쪽의 대표적인 에메랄드빛 해변
3위 이호테우해변 목마 등대 포토존으로 유명
4위 성산일출봉 검색/SNS 언급량 높으나, 방문율은 상대적으로 낮음
5위 오설록티뮤지엄 제주 대표 감성 명소
6위 아쿠아플라넷 제주 대표적인 실내 레저/문화 시설
7위 금오름 '인생샷' 명소로 급부상한 오름
8위 곽지해수욕장  
9위 김녕해수욕장  
10위 9·81파크 중력 레이싱 테마파크

1위와 2위를 차지한 함덕해수욕장과 협재해수욕장은 'SNS 언급 → 포털 검색 → 실제 방문'이라는 MZ세대의 여행 공식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곳이었습니다. 이는 '인증샷 문화'와 '정보 탐색'이 MZ세대 여행 결정의 핵심임을 시사합니다. 반면, 성산일출봉처럼 인지도는 높지만 방문율이 낮은 곳은 MZ세대의 여행 취향이 점차 체험과 감성 위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20대 vs. 30대, 연령별 핫플레이스 선호도 차이

MZ세대 내에서도 20대와 30대의 핫플레이스 선호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각 연령대의 라이프스타일과 여행 목적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1. 20대: 감성적 장소와 '인생샷'을 위한 계절성 명소 선호

  • 주요 핫플레이스: 1위 아침미소목장, 2위 새별프렌즈, 3위 전농로 왕벚꽃거리
  • 선호 성향: SNS 사진 명소와 벚꽃, 오름, 해변 등 계절성 관광지를 특히 선호합니다. '감성' 중심의 장소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합니다.

2. 30대: 문화·레저 복합시설과 이색 테마파크 선호

  • 주요 핫플레이스: 1위 전농로 왕벚꽃거리, 2위 아르떼키즈파크, 3위 렛츠런파크 제주
  • 선호 성향: 가족 단위 여행객이 많아지며 문화·레저 복합시설이나 이색 테마파크 등 다양한 콘텐츠를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곳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 제주 관광 소비를 이끄는 핵심 세력은?

내국인 관광객의 연령별 카드 소비액을 분석한 결과, 제주 관광 매출을 견인하는 핵심 세력은 30대와 40대였습니다. 이 두 세대가 전체 내국인 카드 소비액의 무려 53%를 차지하며 시장의 주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 연령별 제주 관광 소비 성향 요약

  • 30·40대: 전체 카드 소비액의 53%를 차지하는 주요 매출 견인 세대.
  • 20대: 가격, 할인 등 가성비를 지향하는 성향이 강합니다.
  • 50대: 웰니스, 미식 등 프리미엄 체험에 대한 지불 의향이 높아 체험형 소비를 주도합니다.

MZ세대의 연관어 분석에서는 '가격', '할인', '특가' 등이 두드러져, 젊은 세대가 여행의 내용적 알참과 동시에 가성비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이 확인됩니다. 감성어 키워드 역시 '알찬', '행복한시간' 등으로, 비용 대비 높은 만족도를 추구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 내국인 vs. 외국인, 뚜렷한 여행 반경 및 소비 차이

여행 패턴에서는 국적별 차이도 명확했습니다. 내국인 MZ세대 관광객의 하루 평균 이동 반경은 68㎞로, 외국인 MZ세대(46㎞)보다 훨씬 넓었습니다. 이는 외국인 관광객이 제주공항과 가까운 제주시 연동, 노형동 등지에 주로 머무르며 소비하는 경향 때문입니다.

  • 내국인 MZ: 넓은 반경(68㎞)으로 교통·숙박 중심의 효율성 기반 소비.
  • 외국인 MZ: 좁은 반경(46㎞)으로 음식·체험 중심의 경험 기반 소비.

연구진은 이러한 세대별/국적별 뚜렷한 선호도와 소비 패턴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제주 관광은 '수요 유형에 따른 상품 차별화''지역 분산 전략'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 참고 자료 (Referenc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