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 AI 시대, 직장인 10명 중 4명은 불안하다? 데이터로 본 AI 활용과 인식
챗GPT를 필두로 한 생성형 AI가 우리 삶과 업무 현장에 빠르게 침투하면서, AI가 가져올 변화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술이 일상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혁신 도구인 동시에, 미래 일자리를 위협할 수 있다는 불안감 또한 확산되고 있습니다. 최근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의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AI가 우리 사회에 얼마나 깊숙이 들어왔는지, 그리고 AI에 대한 사람들의 솔직한 속마음은 어떠한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AI, 이미 일상 속으로… 2030세대가 이끈다
조사에 따르면, AI 서비스를 ‘사용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64.7%로 나타나, 이미 AI가 많은 사람의 일상에 자리 잡았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20대(24.6%)와 30대(28.8%)는 '매일 1회 이상 사용한다'는 응답 비율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아, AI 활용을 주도하는 세대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젊은 층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수용도가 높고, 업무나 학습에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일상적인 도구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편, AI 서비스 이용자의 74.3%가 ‘무료 버전만 사용한다’고 답해, 아직은 유료 모델에 대한 진입 장벽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료 이용자들의 월 지출액은 '3만원 미만'이 60.8%로 가장 많았고, 3만원 이상의 금액을 지출하는 비율도 꽤 높아, 특정 목적을 위해 기꺼이 지갑을 여는 사용자들도 적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유료 이용자의 연령대는 30대(37.6%)와 20대(32.2%)가 가장 높아, 젊은 세대가 AI에 대한 투자에도 적극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챗GPT'가 AI 시장을 견인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AI 서비스 브랜드로는 ‘챗GPT’가 72.9%라는 압도적인 수치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챗GPT가 생성형 AI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그 뒤를 이어 구글의 ‘제미나이’(34.9%), SKT의 ‘에이닷’(18.6%) 등이 뒤를 이었지만, 챗GPT와의 격차는 여전히 큽니다. 이는 챗GPT가 시장을 선점하며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네이버 뉴스 데이터 분석에서도 챗GPT 관련 보도가 다른 서비스보다 월등히 많았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 업무 효율성 vs. 일자리 불안, AI의 두 얼굴
AI가 가져온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업무 효율성입니다. 전체 응답자의 61.3%가 AI가 업무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으며, 실제로 45.4%의 직장인이 업무에 AI를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20~40대 직장인들은 '업무 필요'를 AI를 처음 사용하게 된 가장 큰 계기로 꼽아, AI를 단순한 호기심이 아닌 실질적인 업무 도구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빛이 강한 곳에는 그림자도 짙은 법입니다. AI가 업무를 대체할 가능성에 대해 응답자의 42.2%가 ‘가능성이 있다’고 답해, 적지 않은 사람들이 AI로 인한 일자리 위협을 현실로 느끼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30대(53.4%)와 40대(45.1%)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일자리 대체에 대한 우려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이들이 현재 활발하게 커리어를 쌓아가는 연령대이기 때문에, AI 기술 발전이 자신의 직업 안정성에 미칠 영향을 더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 연령별 AI 일자리 대체 인식 비교
연령대 | "대체될 가능성이 있다" 응답 비율 |
---|---|
전체 | 42.2% |
20대 | 30.0% |
30대 | 53.4% |
40대 | 45.1% |
50대 | 41.1% |
**60대** | 36.1% |